인터뷰
"창업 4년 만에 매출 412억 달성" 이진호 올리브인터내셔널 대표
2023.05.10코로나19 장기화와 경기침체로 국내 화장품업체들이 줄줄이 실적 부진을 겪고 있을 때도 꾸준히 매출 성장을 기록한 곳이 있다. 송악크림, 그린토마토 모공 앰플 등 메가 히트 제품을 생산하는 올리브인터내셔널이 그 주인공. 이진호 대표의 성공 법칙을 따라가 보자.
"올리브인터내셔널은 ‘클러스터 커머스’라는 접근 방식을 통해서 소비자가 정말로 원하는 제품과 브랜드를 적절한 시기에 출시해 매출을 올리는 회사입니다.”
이진호 대표는 2018년 올리브인터내셔널 창업 후 밀크터치 ‘송악크림’, 성분에디터 ‘그린토마토 모공 앰플’ 등 메가 히트 제품을 쏟아내며 빠르게 성장했다. 지금은 뷰티를 넘어 생활용품 브랜드, 유아 패션 브랜드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진호 대표의 궁극적인 목표는 올리브인터내셔널을 글로벌 소비재 기업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2018년 창업 전에는 어떤 일을 하셨나요.
대학 졸업 후에 소비재 대기업 영업 관리직으로 4년 정도 근무했어요.
올리브인터내셔널 창업 계기가 궁금합니다.
원래 PD가 되고 싶어서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어요. 미디어에 관심이 많았죠. 그런데 어느 순간 PD로 콘텐츠를 만드는 것만큼 비즈니스를 만드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는 마음이 들었어요. 창업을 해야겠다는 결심은 군대에서 처음 했어요. 그리고 전역 후 3학년 때 첫 창업을 실제로 경험했죠. 아이템은 단행본 서적에 광고를 넣는 일이었어요. 신문이랑 방송처럼 단행본에도 타깃 독자에 맞는 광고를 중간중간 넣어서 책값을 떨어뜨리면 출판 시장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는데, 성과를 얻지 못하고 2년 만에 접었어요(웃음). 사실 2년 동안 그 일만 한 건 아니에요. 스쿠터 렌털 사업도 해보고 소셜 이벤트 사업과 샘플을 모아서 구독 서비스하는 사업도 시도해봤는데, 아직은 사업을 해내기에는 많이 부족하고 더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졸업 전에 대학연합 마케팅전략학회 활동을 하면서 마케팅 공부를 집중적으로 했어요.
창업까지 스토리가 꽤 기네요
대학 졸업 후에 바로 입사했어요. 그런데 직장 생활하면서 주변을 돌아보니 슬슬 창업 아이템이 다시 눈에 들어오더라고요. 지상파 3사의 힘겨루기에 불과하던 미디어가 케이블, 종편, 유튜브, IPTV 등으로 다양해지고 세상도 빠르게 변하고 있었죠. 이 과정에서 MZ세대 등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비자 니즈 역시 다양해지는 걸 경험했어요. ‘그렇다면 소비재 상품도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죠. 그동안 대기업 브랜드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 있었다면 앞으로는 소비자 니즈에 맞는 아주 다양한 브랜드가 필요할 거고, 그 니즈를 잘 파악하고 구현한다면 좋은 소비재 기업을 만들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죠.
화장품 사업을 선택한 이유는 뭔가요.
회사를 그만두기 전에 1년 정도 사업 준비 기간이 있었어요. 회사 생활과 사업 준비를 병행한 거죠. 그릇,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제품을 소싱해서 온라인에서 판매해봤어요. 그때 많은 것을 배웠는데, 첫 번째는 판매에 관한 것이었어요. 제가 한 달 동안 팔 물량을 어떤 블로거나 공동구매 마켓에서는 3일 만에 다 팔더라고요. 이유를 고민해봤는데, 어떤 구심점으로 모여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아이템을 제시하면 가능성이 있다는 걸 깨달았죠. 두 번째는 카테고리에 대한 부분인데, 결국 사업을 하려면 구매자의 니즈를 파악해서 그것을 물건으로 구현해내야 한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생활용품 분야로 아이템을 생산해내려면 금형을 만들거나 발명을 해야 하는데, 화장품은 국내에도 제조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기 때문에 제가 파악한 소비자 니즈를 구현해내기에 최적의 아이템이라고 생각했어요.
현재 올리브인터내셔널에서 전개하고 있는 브랜드는 몇 개인가요.
8개 브랜드가 있어요. 밀크터치, 성분에디터, 비프로젝트, 시모먼트, 피치포포 등 5개 뷰티 브랜드와 생활용품 브랜드 깔끔상회와 나무팩토리, 유아 패션 브랜드 뭉게뭉게예요.
해마다 매출 성장이 매우 큰데요.
2019년 매출이 20억 원, 2020년은 126억 원, 2021년 272억 원 그리고 지난해 412억 원을 찍었어요. 특히 2021년에서 2022년으로 넘어가는 시기는 매출뿐 아니라 이익률이 3배 이상 성장했어요. 그래서 2022년은 올리브인터내셔널의 체질을 더 건강하게 개선하면서 매출 성장까지 이뤄낸 해라 의미가 커요. 올해 목표 매출액은 1086억 원이고, 1분기가 지난 현재 상황에서 보면 순항하고 있습니다. 매달 월별 목표가 있는데 무난하게 달성해가는 중이에요. 3년 뒤에는 매출 2700억 원이 목표예요.
급성장의 비결은 뭔가요.
소비자 니즈를 잘 파악하고 구현해내는 클러스터 커머스라는 접근 방식이라고 생각해요. 클러스터 커머스는 모여 있는 사람들을 찾고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면서 그들이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 구현해내는 과정을 의미해요. 그들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활용하고 있어요. 올리브인터내셔널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소비자 니즈를 찾는 일에 열정이 있고 실력도 갖추었죠. 이런 접근 방식과 제품 자체가 경쟁력의 원천이라고 생각해요.
“전체 매출 50%까지 해외 매출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
이 대표는 올해를 기점으로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4월 초 올리브인터내셔널은 일본 마케팅사와 유통사를 인수 합병했다. 현재 밀크터치가 일본에서 월 15억~20억 원 정도의 매출이 발생하는데, 인수 합병한 회사를 통해 올리브인터내셔널에서 보유한 다른 브랜드도 밀크터치처럼 일본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겠다는 포부다. 두 번째 공략하는 부분은 좋은 바이어들에게 아이템을 공급하고 현지에 제품을 제대로 안착시키는 B2B 전략이다. 마지막으로는 해외에 법인을 설립해 한국에서 진행하는 일을 그대로 현지화하는 글로벌 D2C다. 이미 대만에서는 밀크터치, 성분에디터 등을 판매하는 자회사를 설립했고 반응도 좋다고 한다. 이 대표는 “향후 홍콩,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그리고 미국까지 지역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올리브인터내셔널, 프라이머사제 20억 투자
202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