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역동적인 IT 업계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꾸준한 공부는 필수다. KINX의 다양한 서비스를 국내 개발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는 이창민 매니저 또한 "관련 서비스에 대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귀띔한다. 노력과 관심, 그 밖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 KINX 공채에 앞서, KINX 현직원에게 물었다.
안녕하세요,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영업 그룹에서 국내 영업을 담당하고 있는 이창민입니다.
KINX는 어떤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기업인가요? 국내영업그룹이 영업하고 있는 KINX의 서비스를 소개해주세요.
KINX에서는 국내 최초 L2 기반의 중립적 IX Peering, 네트워크 회선, 규모와 설비 등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 제공할 수 있는 IDC, 많은 양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CDN, 누구나 쉽게 물리적 설비 없이도 컴퓨트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등 대부분의 기업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영업그룹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각자 어떤 업무를 담당하고 계신가요?
국내 영업은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눠져, 구성원이 각자 담당하고 있는 기존 고객을 관리하며 새 고객을 발굴하고 있어요. 각 서비스 별로 영업 담당자가 정해져 있는 형태는 아닙니다.
특히 저는 전화나 이메일로 접수되는 잠재 고객의 문의에 응대하고, 필요 조건에 맞는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어요.
KINX가 첫 직장이신데요. 많은 기업 중 KINX라는 기업의 어떤 장점을 보시고 입사하게 되셨어요?
회사와 저 스스로가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곳이라고 판단했어요. KINX는 소수의 ISP가 주를 이루고 있던 네트워크 시장에서, 중립적 IX라는 확실한 무기를 가지고 도전을 시작한 기업이에요. 또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었죠.
업무와 관련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어보고 싶은데요. 참여한 프로젝트나 업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입사 후 첫번째로 계약에 성공했을 때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그 전까지는 ‘내가 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도 많았지만, 첫번째 계약 이후에 업무에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물론 계약까지 부서 내 선배들의 많은 도움이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직접 고객과 컨택하고 견적을 협의하는 등 모든 과정을 처음 겪었기 때문에 더 기억에 남아요. 그 고객과는 지금도 자주 연락을 주고 받으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직무인 만큼, 서비스를 영업하려면 관련 지식이나 꾸준한 공부가 필요할 것 같아요.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제안할 수 있는 영업담당자가 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꾸준한 노력과 많은 관심이 필요하죠.
실제로도 분기마다 사내 교육이 있어요. 부서 내 선배들의 교육도 수시로 진행되고 있고요. 뿐만 아니라 사외 교육과 도서 구매에 대한 회사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서, 관련 지식을 쌓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타 기업의 영업팀과 달리 KINX 국내영업그룹만이 갖고 있는, 직무상의 차별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타 기업 영업팀과의 가장 큰 차별점은 ‘팀플레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영업그룹에서는 각자의 활동을 부서 내에 공유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고 있어요. 그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일을 배우고 있습니다. 덕분에 쉽지 않은 일도 망설임 없이 실행에 옮길 수 있죠.
그럼 KINX 국내영업그룹에서 일하게 된다면 ‘이것만큼은 얻어갈 수 있다!’라는 게 있을까요?
네트워크라는 분야에서 폭 넓은 경험을 쌓을 수 있어요. KINX의 고객군은 ISP, MSO, CP와 공공기관 등 매우 다양합니다. 또 앞서 언급했던 IX, IDC, CDN, Cloud 등 다수의 서비스를 다루면서도, 서비스별 영업담당자가 지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죠.
KINX의 복지제도 중 가장 잘 활용하고 있거나, 자랑하고 싶은 제도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저는 9 to 5 근무시간과 복지포인트에 가장 만족하고 있습니다.
많은 구직자 분들이 직장을 선택할 때 크게 고려하는 것 중 하나가 워라밸이잖아요. KINX는 9시 출근에 5시 퇴근이라, 워라밸 측면에서는 최고라고 자부할 수 있죠. 저는 5시 퇴근하고 매일 운동을 하고 있어요. (웃음)
또 복지포인트를 이용해 지금까지 접해보지 않은 새로운 운동도 배우기 시작했어요. 이 두 가지는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직원들도 만족하는 복지일 거예요.
KINX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어떤 채용 과정을 거쳐야 하나요? 서류 작성 또는 면접 시 어떤 역량이나 경험을 부각하면 좋을까요.
타 기업과 유사하게 서류부터 시작하여 인적성고사, 실무면접, 최종면접까지의 채용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국내영업그룹에 지원하는 구직자라면 서류 작성과 면접 시에 본인의 성실함과, KINX의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보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끝으로, KINX에서 성취하고 싶은 개인적인 목표가 있다면 이야기해주세요.
KINX의 국내영업그룹에서 없어서는 안 될 구성원이 되는 게 목표입니다. 입사할 당시 면접에서도 언급했던 건데, 지금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게 되려고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저작권은 (주)케이아이엔엑스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