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남들은 ‘연차’ 얼마나 쓸까?

[데이터J] 잡플래닛 설문 분석 “10~15일, 눈치는 ‘살짝’ 보임”

2020. 06. 01 (월) 12:43 | 최종 업데이트 2021. 12. 09 (목) 09:26
이미지
코로나19 때문에 여전히 집 밖은 위험하지만, 그래도 시간은 흐르고 어느덧 6월입니다. 차가웠던 바람이 이제는 시원한 바람이 됐는데요. 이 말은 곧 여름 휴가가 다가오고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어디 멀리 떠나기도 힘든 상황이지만, 집에서만 종일 뒹굴거리는 시간이 될지라도, 휴가를 기다리는 직장인의 마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똑같을 터. 잡플래닛이 물었습니다. 연차, 실제로 며칠이나 쓸 수 있나요? 연차 사용할 때 눈치가 보이지는 않나요?
이미지
◇“‘10~15일’ 사용이 대세지만, 연차 사용일 늘어나는 중”
소폭이지만 직장인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연차는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3년간 실제 사용한 연차 일수를 묻는 질문에 ‘0~10일’이라는 응답은 소폭 줄어든 반면, ‘15~30일’, ‘20~30일’을 택한 응답자는 역시 소폭이지만 꾸준히 늘었는데요.
가장 많은 직장인들이 실제 사용한 연차 일수로 ‘10~15일’이라고 답했습니다. 지난해 “연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휴가(연차, 여름휴가 등 포함)는 며칠인가요”라는 질문에 응답한 2만3443명의 직장인 중 8010명(34.2%)은 실제로 사용하는 연차는 ‘10~15일’이라고 응답했습니다.
3년 연속 같은 결과가 나왔는데요. 2017년에는 총 응답자 1만4080명 중 4781명(34%)가, 2018년에는 총 응답자 1만7366명 중 5867명(33.8%)가 ‘10~15일’이라고 답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0~10일’이라는 응답은 2017년 32.6%(4596명)에서 2018년 31.8%(5528명), 지난해에는 30.5%(7149명)로 꾸준히 줄었다는 점입니다.
대신 ‘15~20일’이라는 응답은 2017년 25.7%(3624명), 2018년 26.5%(4607명), 지난해에는 27.6%(6463명)로 늘었습니다. ‘20~30일’을 택한 응답자 역시 2017년에는 5.3%(749명), 2018년 5.4%(930명), 지난해에는 5.6%(1318명)로 늘었습니다.
이미지
◇연차 사용, 여전히 눈치 보이지만…눈치 안보는 직장인 늘어나는 중
연차는 얼마나 자유롭게 쓸 수 있을까요? 연차를 사용할 때 회사의 눈치를 얼마나 보는지 물었습니다. 여전히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눈치를 본다고 답했지만, 눈치를 보지 않는다는 응답이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총 응답자(2만3545명) 중 52.8%(1만2436명)는 연차를 사용할 때 눈치가 ‘많이 또는 다소’ 보인다고 답했습니다. 연차를 사용하면서 눈치를 보지 않는다는 응답은 47.1%(1만1109명)였는데요.
긍정적인 점은 ‘눈치를 본다’는 응답이 매년 조금이나마 줄고 있다는 점입니다. 지난 2017년에는 ‘눈치가 많이 보인다’는 응답은 26.3%(3776명), ‘다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은 29.8%(4293명) 였지만, 2018년에는 각각 25.7%(4588명), 29%(5178명)으로 줄었습니다. 눈치를 본다는 응답이 줄어든 만큼 눈치를 보지 않는다는 응답은 늘었죠.
◇“올해부턴 사기업도 ‘법정공휴일’ 당당하게 쉰다”
2020년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간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의 유급휴가를 쓸 수 있습니다. 근로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한 해 동안 80% 미만 출근을 했다면, 1개월 근무 때마다 1일의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이상 일했다면, 2년에 1일씩 연차는 늘어납니다. 3년 째 회사에 다니고 있다면, 올해 연차는 15일에 1일이 더해져서 16일을 쉴 수 있다는 거죠. 다만 한없이 늘어나지는 않는데요. 총 휴가 일수는 25일까지만 늘어납니다.
올해부터 사기업 직원들도 법정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보장받게 됐습니다. 사실 법적으로 달력의 ‘빨간 날’(법정공휴일) 쉬는 것은 ‘관공서’, 즉 공무원들에게만 해당하는 규정이었습니다. 설과 추석, 각종 국경일,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크리스마스 등 다 그렇습니다.
근로기준법 상 사기업 직원들에게 법정공휴일은 ‘당연히 쉬는 날’은 아니었다는 겁니다. 근로기준법에서 정해 둔 사기업 근로자의 쉬는 날은 ‘근로자의 날’과 1주일 일하면 하루 쉴 수 있는 ‘주휴일’(주로 일요일이지만 합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연차’를 사용하는 날 뿐이었죠.
하지만 법이 바뀌면서 올해부터 직원이 300명 이상인 회사는 법정공휴일도 유급휴일로 보장해줘야 합니다. 2021년 1월1일부터는 ‘상시 30명 이상 300명 미만 근로자가 일하는 회사’에도, 2022년 1월1일부터는 ‘상시 5인 이상 30명 미만 근로자가 일하는 회사’에도 적용됩니다. 올해부터, 회사 규모에 따라 차례로 진행될 예정이지만, 사기업 직원들도 ‘빨간 날’ 당당하게 쉴 수 있게 된 겁니다.
가끔 ‘회사가 법정공휴일에 근무를 하는데, 출근을 하지 않으면 연차를 쓰는 것으로 한다’거나 ‘명절 등 법정공휴일에 연차를 쓴 것으로 돼있는데 나는 연차를 낸 적이 없다. 어떻게 된 일이냐’는 질문이 나오는데요.
법정공휴일은 당연히 쉬는 날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런 일들이 생긴 겁니다. 근로기준법 제62조에 따라, 사용자(회사)는 근로자 대표와 한 서면 합의에 따라 연차 유급휴가일을 대신해 특정한 근로일에 근로자를 쉬게 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 대표와 회사가 서면으로 합의를 하면, 즉 ‘법정공휴일에 쉬는 것은 연차를 쓰는 것’이라는 식으로 합의를 하면, 각종 법정공휴일에 쉰 것이 연차를 쓴 것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원래 근무하는 날인 경우에만 대체가 되지, 원래 쉬는 날을 연차로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주휴일을 일요일로 정해서 쉬고 있는데, 일요일에 연차를 쓴 것으로 할 수는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회사 마음대로 이렇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서면 합의’, 즉 ‘연차대체합의서’가 있어야 합니다. 회사가 일방적으로 정해서 강요할 수는 없습니다. 만약 서면 합의 등 규정없이 회사가 일방적으로 정해서 시행했다면, 이는 무효에 해당합니다. 연차대체 무효, 연차휴가 미사용으로 환원 등 문제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여전히 뒤숭숭한 날들이지만, 올해 남은 휴가는 더 알차고, 당당하고, 뿌듯하게 사용하시길 응원합니다.
박보희 기자 [email protected]
#직장인고민 #잡플래닛 #데이터J
프리미엄 멤버십으로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하세요.

기업리뷰를 써야 하는 이유

  1. 1. 리뷰 하나로 열람권 획득 리뷰 하나만 써도 모든 기업 리뷰를 승인된 날로부터 1년간 볼 수 있습니다.
    잡플래닛은 당신이 가장 만족스러운 직장을 고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몇분만 투자하세요!
  2. 2. 매일 수백개의 기업에 대한 새로운 리뷰 지금 이순간에도 수백명의 회원들이 기업리뷰를 남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의 친구, 직장 동료, 경쟁자들은 벌써 이런 정보를 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뒤쳐지지 마세요!
  3. 3. 운영팀도 모르는 익명성 리뷰를 검토하는 운영팀조차도 작성자가 누구인지 모릅니다. 모든 개인 정보는 암호화되며 어디에도 노출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작성자가 드러날 것만 같은 리뷰는 거절된답니다. 걱정마세요!

<리뷰 작성 Tips>

  1. 1. 기업이 가지는 ‘일자리로서의 매력’ 혹은 ‘아쉬운 점‘에 대하여 작성해주세요. 특정인을 지목하여 묘사하기 보다는 기업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이야기해주세요. • 입사 후 어떤 업무를 하나요? • 휴가 사용은 어떻게 하나요? • 어떤 복지가 제공 되나요?
  2. 2. 본인이 경험한 사실을 작성해주세요. 간접 정보, 허위사실 또는 소문(확인되지 않은 정보, 루머 또는 다른 출처에서 인용 또는 보고된 다른 사람의 의견/경험)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3. 3. ‘이유‘를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회사가 좋다, 안 좋다’ 뿐만 아니라 그 회사가 왜 좋은지를 포함한 정보입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느꼈던 점들과 그렇게 느꼈던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해 주세요.
  4. 4. ‘균형’을 맞춰주세요. 회사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모두가 구직자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조금 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장점과 단점의 균형을 권장합니다.
  • "어디로 갈지 결정해야 할 마지막 순간에 잡플래닛의 기업리뷰가 큰 도움이 되었다. 덕분에 나에게 잘 맞는 회사를 선택할 수 있었다."
  • 당신의 리뷰로 더 나은 삶을 살게 될 미래의 직장인
  • "선배에게 물어봐도 말 안해주는 이야기들. 하지만 결정을 위해 알아야만 하는 것들. 잡플래닛이 유일한 솔루션이었다."
  • 당신이 1분을 투자하고 구해낸 미래의 직장인
  • "복지제도가 있다 없다 하는 것보다 중요한건, 정말 혜택을 볼 수 있는건가 하는 거 잖아요. 그런데 그런정보는 구하기가 어려웠으니까요."
  • 당신의 리뷰로 현실을 알게 된 미래의 후배
  • "일년만 더 빨리 오픈하지! 그랬으면 이곳에 취업해서 6개월이나 허비하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뭐 그래도 이제는 도움 좀 받겠어요."
  • 당신이 쓴 리뷰로 재취업의 방향을 결정하려는 미래의 취업준비생

수준이 다른 잡플래닛의 연봉정보

  1. 1. 직급/직종 별로 보는 정확한 연봉 후회하지 않으려면 직급에 따라, 그 속 에서도 직종에 따라 달라지는 연 봉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회사 평균 연봉 같은 숫자에 당하지 마세요.
  2. 2. 날마다 새로워지는, 가장 현실적인 연봉 잡플래닛에서는 하루 수백건의 연봉 정보가 추가됩니다. 눈 뜨면 달라지 는 상황 속에서 언제까지 구체적 이 지도 않은 작년 연봉정보를 기준으 로 인생을 결정할 순 없으니까요.
  3. 3. 친구도 안가르쳐 주는 정보 멀지 않은 미래에 연봉을 좀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 적용 됩니 다. 누군가는 기본급에, 누군가는 상 여금에 더 큰 비중을 두니까요. 친구에게도 물어보기 어려운 정보를 기다리며, 잠깐만 투자하세요.

정보 등록 정책

  1. 연봉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된 모든 정보는 잡플래닛의 자체적인 검토 과정을 거쳐 등록됩니다.
  2. 등록이 거부되는 이유 1. 존재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기업명 2. 기존에 입력된 연봉 정보와 비교했을 때, 지나치게 큰 차이가 나는 금액 3. 직급/직종을 고려했을때 상식을 벗어난 신뢰하기 어려운 금액

이것만 기억하세요.

  1. 1. 인턴에서 이직까지. 잡플래닛의 원스톱 정보 제공 서비스 노력하면 찾을 수 있는 공채 족보뿐 만 아니라, 선배한테 매달려야 알려주는 인턴 합격수기부터 그 어디에 도 없는 경력직들의 이직 면접 팁까 지. 당신의 모든 '지원'이 합격으로 끝나는 방법이 잡플래닛에 있습니다.
  2. 2. 잠깐! 기업 리뷰도 보고 싶으신가요? 면접후기를 제출하면 합격을 부르는 수만개의 꿀팁이 열립니다. 기업 리뷰도 보고 싶으시다면 기업 리뷰를 제출해주세요. 열려라 참깨! 의 비밀은 '기브 앤 테이크' 입니다.

<면접 작성 Tips>

  1. 1. 실제 면접에 참여한 경험을 작성해주세요! 면접을 앞둔 구직자가 면접을 준비할 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면접을 위한 준비는 무엇인가요? • (면접질문) • 면접은 어떤 방식인가요?
  2. 2. 본인이 경험한 사실을 작성해주세요. 간접 정보, 허위사실 또는 소문(확인되지 않은 정보, 루머 또는 다른 출처에서 인용 또는 보고된 다른 사람의 의견/경험)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3. 3. ‘이유‘를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면접 분위기가 좋다, 안 좋다’ 뿐만 아니라 그 회사가 왜 좋은지를 포함한 정보입니다. 면접을 보면서 느꼈던 점들과 그렇게 느꼈던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해 주세요.
  4. 4. 면접 ‘과정’에 관련된 정보를 이야기해주세요. 특정인을 지목하여 묘사하기 보다는 안내과정, 질답과정, 발표과정 등에 대하여 작성해주세요.
  • "예상질문을 준비했지만, 실제 면접에서는 전혀 다른 질문으로 몇번의 고비를 마셨습니다. 하지만,잡플래닛에서 먼저 합격한 선배들의 노하우를 보고 면접을 봤더니 바로 합격통보!소원성취!"
  • 당신이 알려준 면접 노하우를 보고 취업 성공한 미래의 후배
  • "외국계 기업의 영어 면접을 포기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면접 후기를 들어보니 영어에 까다롭지 않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자신있게 지원을 했고, 현재 이곳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 실제 면접과정을 알고 도전해, 이직을 성공한 직장

정보 등록 정책

  1. 면접후기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의적 기업 평점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된 모든 정보는 잡플래닛의 자체적인 검토 과정을 거쳐 등록됩니다.
  2. 등록이 거부되는 이유 1. 존재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기업명 2. 기업 기밀에 해당하는 내용 3. 욕설, 비속어, 은어 및 공격적인 언어 4. 부서, 직급 등 개인을 특정 지을 수 있는 정보나 폄훼, 비방성 표현 5. 기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안되는 상관 없는 내용

기업리뷰가 제출되었으며, 리뷰심사가 통과 시
노출됩니다.
지금부터 모든 기업리뷰를 제한 없이 볼 수 있습니다.
단, 리뷰심사에서 승인 거절 시 다시 제한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