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딱 맞는 정부 지원 전월세 대출 제도는 뭘까?
보증금에 필요한 목돈, 국가 정책을 활용하세요!
경제적인 여유가 부족하거나, 경제 활동을 막 시작한 직장인의 경우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갖추기 위해 고민이 많으실 거예요. 보증금에 필요한 목돈을 구하기가 쉽지 않고요. 그래도 다행인 건 정책으로 저금리로 전월세 보증금을 대출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는 사실인데요. 막상 정보를 찾아보면 너무 많은 대출 종류가 있어 어떤 게 나에게 딱 맞는 대출인지, 어떤 조건에서 가능한지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직장인이 받기 좋은, 국가 정책으로 시행되는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한 번에 정리해 봤어요. 주거 환경을 위해 보증금이 필요한 직장인이라면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
나라에서 빌려주는
‘버팀목 전세 대출’을 이용하자!
주택도시기금에서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전월세 보증 대출을 모두 아울러 ‘버팀목 전세 대출’이라 부릅니다. 버팀목 전세 대출은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대출 상품이 있어요. 현재 모든 버팀목 전세 대출은 시중 은행보다 저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고요. 대출별로 제시한 조건에 해당한다면, 다른 대출보다 우선하여 이용하길 추천해요. 어떤 조건일 때, 어떤 대출을 활용할 수 있는지 정리해 봤어요.
•청년전용보증부월세대출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버팀목전세자금
•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
만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 금리는 연 1.5%입니다. (1년에 약 150만원, 월별 약 12만5000원 납입)
현시점에서 정책상 1억원까지 빌릴 수 있는 대출 상품 중, 금리가 가장 낮은 대출 상품이에요.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재직자 중 소득조건에 해당된다면 가장 먼저 이 대출을 고려해야 합니다! 총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해서, 한번 가입하면 최장 10년 동안 주택도시기금의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데요. 다만 2회 연장 시부터는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아래 상품 설명 참고)으로 대출 상품 및 금리가 변동돼요. 즉, 신청 후 만 4년까지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혜택을 오롯이 누릴 수 있어요.
📌지원 자격은?
①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이어야 해요.
② 병역 의무를 이행한 경우 만 39세까지 신청 기한이 연장됩니다.
③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지원을 받고 있어야 해요.
④ 외벌이일 경우 세전 연소득 3500만원 이하, 부부일 경우 세전 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만 해당해요.
⑤ 순자산가액 3억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신청 가능한 주택 조건은?
① 전월세 보증금이 2억원 이하일 때만 대출받을 수 있어요.
② 전용면적 85㎡(약 25평) 이하인 집(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이어야 해요.
📌대출 내용은?
① 최대 1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어요.
② 연 1.5%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③ 최초 2년간 대출 기간을 보장해요.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④ 2회차 연장(4년 만기)부터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으로 전환돼요.
재직 여부·회사 규모 관계없이
만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월세] 청년전용 보증부월세대출
• 부부 합산 세전 연소득 5000만원 이하이며 만 34세 이하 청년일 경우 신청할 수 있어요.
• 보증금 금리는 연 1.3%, 월세금은 연 0%(20만원 한도), 1.0%(20만원 초과)예요.
보증금 한도가 최대 4500만원으로 크진 않지만, 월세금을 지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상품이에요. 월세로 쾌적한 주거 환경에 살고자 하는 사회초년생, 청년들에게 적합한 대출입니다. 대출을 받으면 임대인에게 보증금이 바로 전달되며, 2년(24개월) 범위 내 매월 약정일에 임대인 통장으로 월세도 바로 송금됩니다.
📌지원 자격은?
①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이어야 해요.
② 부부합산 세전 연소득이 5000만원 이하만 신청 가능해요.
③ 중소·중견기업 재직자가 아니어도, 현재 무소득자라도 신청 조건에 해당돼요.
④ 순자산가액 3억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신청 가능한 주택 조건은?
① 전월세 보증금이 6500만원, 월세가 70만원 이하인 집이라면 가능해요.
② 전용면적 60㎡(약 18평) 이하인 집(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이어야 해요.
📌대출 내용은?
① 보증금은 최대 4500만원, 월세는 월 50만원(24개월 기준 1200만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
② 보증금 금리는 연 1.3%입니다. 월세금 금리는 20만원까지 연 0%, 20만원 초과 시 1.0%예요. 월세가 50만원이라면 이자는 월별 약 416원 수준입니다.
③ 최초 25개월간 대출 기간을 보장해요. (4회 연장, 최장 10년 5개월 이용 가능)
[전세]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 보증금은 최대 2억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
• 금리는 연 2.0%~3.1%입니다.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재직 조건이 없고 만 34세 이하 청년라면 신청 가능해요. 무소득자여도 신청할 수 있고요. 소득 기준에 해당한다면 문턱이 낮은 편인데요. 다만 외벌이여도 연소득 5000만원, 부부여도 합산 연소득이 5000만원이라는 제한이 있습니다. 금리가 연 2.0%~3.1%로 시중 은행보다는 월등히 낮죠. 외벌이 중소기업 직장인이지만, 연소득이 3500만원을 초과한 경우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이 불가하니 이 상품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또 현재 무소득자이거나, 프리랜서 등이어도 신청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세요!
📌지원 자격은?
①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이어야 해요.
② 부부일 경우 합산 세전 연소득 5000만원 이하만 해당해요.
③ 중소·중견기업 재직자가 아니어도, 무소득자라도 신청 조건에 해당돼요.
④ 순자산가액 3억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신청 가능한 주택 조건은?
① 전월세 보증금이 3억원 이하인 집일 때 대출받을 수 있어요.
② 전용면적 85㎡(약 25평) 이하인 집(주거용 오피스텔 포함) 혹은 호수가 구분되어 있고 전입신고가 가능한 기숙사여야 해요.
📌대출 내용은?
① 최대 2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어요.(전세금액의 80% 이내)
② 연 2.0%~3.1%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③ 최초 2년간 대출 기간을 보장해요.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만 35세 이상,
저금리 전세 대출을 찾고 있다면
일반 버팀목전세자금
• 보증금은 수도권 1억2000만원, 수도권 외 8000만원 이내까지 빌릴 수 있어요.
• 금리는 연 2.3%~3.3%입니다.
나이에 상관없이 근로자 및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마련된 전세자금 대출이에요. 소득 조건에 해당한다면 시중 은행보다 훨씬 적은 이자로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습니다. 또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의 대출 기간이 4년이 지나고, 연장할 때는 대출 내용 및 금리가 일반 버팀목전세자금 대출로 바뀌게 됩니다.
📌지원 자격은?
① 부부 합산 연소득 5000만원 이하만 해당해요.
② 중소·중견기업 재직자가 아니어도, 무소득자라도 신청 조건에 해당돼요.
③ 순자산가액 3억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신청 가능한 주택 조건은?
① 일반가구라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일 경우 3억원, 수도권 외 지역은 2억원 집까지 가능해요.
②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라면 수도권 4억원, 수도권외 3억원 집까지 가능합니다.
③ 임차 전용면적 85㎡(약 25평)이하 주택이어야 해요.
📌대출 내용은?
① 일반가구라면 수도권은 1억2000만원, 수도권 외 지역은 8000만원까지 혹은 전세금액의 70%까지 대출돼요. (둘 중 더 작은 금액으로 산정)
②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라면 수도권은 3억원, 수도권 외 지역은 2억원까지 혹은 전세금액의 80%까지 대출돼요. (둘 중 더 작은 금액으로 산정)
③ 연 2.3%~3.3%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④ 최초 2년간 대출 기간을 보장해요.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부부의 연소득 합산 금액이
5000만원 이상 신혼부부라면
신혼부부전용 전세자금
• 보증금을 수도권 3억원, 수도권 외 지역은 2억원까지 빌릴 수 있습니다.
• 금리는 연 1.7%~3.1%입니다.
앞서 설명한 모든 대출의 소득 기준은 부부 연소득 합산이 5000만원 이하였죠. 이제 막 결혼한 직장인 신혼부부라면 해당 조건에 충족하기가 쉽진 않을 건데요. 소득 조건의 범위가 조금 더 넓은 신혼부부 전용 버팀목 대출이 있어요.
📌지원 자격은?
① 나이에 상관없이, 부부 합산 연소득 7500만원 이하만 해당해요.
② 중소·중견기업 재직자가 아니어도, 한 명이 무소득자라도 신청 조건에 해당돼요.
③ 순자산가액 3억4500만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여야 해요.
📌신청 가능한 주택 조건은?
①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일 경우 4억원, 수도권 외 지역은 3억원 집까지 가능해요.
② 임차 전용면적 85㎡(약 25평) 이하 주택이어야 해요.
📌대출 내용은?
①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있는 집은 3억원, 수도권 외 지역은 2억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
② 연 1.7%~3.1%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③ 최초 2년간 대출 기간을 보장해요. (4회 연장, 최장 10년 이용 가능)
대출 신청 전에
HUG와 HF 대출 차이 알기
국가에서 보증금을 빌려줄 땐 이 대출을 실행해도 괜찮을지 심사하는 과정이 필요하겠죠? 그래서 대출을 신청하기 전, 국가 보증기관에서 심사받게 되는데요. 이때 심사를 하는 기관이 2곳이 있어요. 어느 곳에서 심사하느냐에 따라 대출의 종류도 2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주관 대출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심사를 주관하는 대출이 있어요. 이 대출은 이사하려는 집이 얼마나 안전한지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 및 한도가 결정됩니다. 집에 너무 많은 빚이 걸려있거나, HUG에서 집이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대출을 실행되지 않는 거죠. 따라서 무소득자이거나 소득이 불안정한 경우 HUG 심사 주관 대출이 유리할 수 있어요. 개인의 소득이 아닌 집의 안정성을 기준으로 심사하기 때문입니다. 또 대출을 받으며 필수로 보험을 가입해야 하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어요. 다만, HUG의 기준에 적합한 안전한 집 매물을 구하는 게 쉽지는 않죠.
주택금융공사(HF) 주관 대출
주택금융공사에서 심사를 주관하는 대출은 신청인의 소득 및 신용도에 따라 대출 여부가 결정됩니다. 대출 신청자의 소득 수준과 신용 점수가 높다면 대출에 훨씬 유리해요. 또 심사 과정도 HUG보다 간단하고 빨라요.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HF 주관 대출을 이용하면 대출 과정이 상대적으로 수월하겠죠. 하지만, 대출 과정에서 전세 보험 가입이 필수 절차는 아니기 때문에 따로 가입 가능 여부를 꼭 알아보세요!
심사 기관에 따라 대출 금액이 이렇게 달라져요!
첫 번째로 소개한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을 받을 경우 심사 기관에 따라 최대 대출 실행 금액이 달라져요. HUG에서 대출 심사를 받으면 한도의 100%까지 받을 수 있는 반면, HF에서 대출 심사를 받으면 한도의 80%까지만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중소기업 청년이 대출을 받고자 하는 집의 전세금이 8천만원이라면, HUG 심사 후 대출 시 8천만원 모두 받을 수 있어요. 반면, HF에서 심사받을 경우 64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는 거죠.
그럼 대출 금액이 많은 HUG에서 받을 수 있으면 좋을 텐데요. HUG에서 보기에 집의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아요. 그래서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을 받을 땐 거래 은행에서 가심사를 한 뒤 HUG 심사를 통해 100% 대출이 가능한지, HF 심사로 80% 대출이 나오는지 알려줘요.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을 제외한 버팀목 전세 대출 상품은 심사기관에 따라 최대 대출 비율이 달라지진 않아요. 따라서, 나의 상황에 더 유리한 기관을 골라 대출 심사를 진행하면 됩니다.
장경림 기자 [email protected]
함께 보면 좋아요
가장 많이 본 이슈
- 동영상00:18:211경력직, 이력서&경력기술서 작성법
- 동영상00:26:522취준생을 위한 면접 합격 비법
- 동영상00:10:293총무, 경력에 도움이 될까_사중고 EP20
- 동영상00:17:144신입사원 어떻게 뽑나
- 동영상00:12:515중소기업의 장점
- 동영상00:32:146경력직 면접 - 꼬리 질문 편
- 동영상00:36:447합격! 영문이력서 작성법
- 동영상00:05:418연차를 못 써 면접을 못 간다면? [5월 노필터상담소 #.01]
- 동영상00:08:429취반스 EP11_면접 볼 때 횡설수설하는 사람 주목
- 동영상00:00:0010영업 직군 별 기업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