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교씨엔에스, 성장의 길을 함께 걷다!
협력과 배움이 만드는 특별한 여정, ‘성장스터디’ 🚀
업무도 바쁜데 스터디까지 한다고 하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피곤함'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대교CNS의 '성장스터디'는 조금 다릅니다.
공부를 넘어 동료들과 협력하고 새로운 시너지를 만들며 성장스터디가 ‘회사 생활을 넘어 일상의 활력소’가 되고 있다고 말하는 이들을 소개하겠습니다!
✍🏻 성장스터디란?
대교CNS는 직원의 ‘성장’을 핵심 가치로 삼고, 이를 통해 개인과 조직이 함께 발전하는 기업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데요. 그 중심에는 단순 학습을 넘어 지식과 경험, 열정이 어우러지는 협력의 공간, 성장스터디가 있습니다.
성장스터디는 2023년 처음 도입된 자율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커뮤니티입니다. 직원들이 IT와 경영을 주제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며 전문성을 키워가는 이 활동은 대교CNS의 기업문화 핵심 가치인 '성장, 존중, 소통'을 실현하는 중요한 통로가 됩니다.
대교그룹의 철학인 ‘교학상장(敎學相長)’, 즉 가르치고 배우며 함께 성장한다는 가치를 계승한 이 프로그램은 기존 CoP(Community of Practice) 활동의 확장판으로 더욱 창의적이고 유연하게 운영됩니다.
👣 성장스터디의 여정: 2023년과 2024년
2023년, 기틀을 다지다
자바, 네트워크, AWS 등 실무 중심의 IT 기술을 함께 학습하고 최신 트렌드와 기술을 익히며 현업에 적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나눴습니다.
전략 기획과 비즈니스 협상력을 주제로 스터디를 하며, 경영 역량을 강화하고 조직 내 협업 능력을 키웠습니다.
개발자와 비개발자가 함께 IT 서적을 읽고, 서로 다른 관점에서 기술을 해석하고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새로운 시각을 배웁니다.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회사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챗봇 2종을 개발 중입니다. 챗봇 개발은 협업과 창의성의 가치를 실현하는 대표 사례로서 연말에 전사적으로 보급될 예정이며, 직원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습니다.
✨ 성장스터디의 특별한 점
1️⃣ 직원의 니즈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스터디 주제는 직원들의 관심사와 업무에 기반해 선정합니다. 이는 자율성과 참여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죠.
2️⃣ 세대와 직군을 아우르는 협력의 장
신입사원부터 경력사원까지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개발자와 비개발자가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며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합니다. 스터디 내에서는 우리들 만의 룰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는데요. 회사 직급 대신 영어 이름을 정하는 등 수평적인 소통을 기반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
3️⃣ 성과 공유와 실질적인 적용
스터디에서 나온 결과물은 단순 학습에 그치지 않고 실무와 조직 발전에 활용됩니다. 특히, 2024년 개발 예정인 챗봇은 현장의 필요를 적극 반영한 혁신적 시도로 주목받고 있답니다.
📊 대교CNS와 함께 성장하세요!
대교CNS의 성장스터디는 직원 개개인의 전문성을 키우고 조직 전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강력한 발판입니다. 이곳에서 우리는 서로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대교CNS는 지속적인 학습과 도전, 그리고 협력을 통해 IT와 경영의 중심에서 더 큰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대교CNS의 스터디 여정에 함께해요!
저작권은 대교씨엔에스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함께 보면 좋아요
가장 많이 본 이슈
- 동영상00:18:211경력직, 이력서&경력기술서 작성법
- 동영상00:09:462노려볼만한 외국계 인턴 - 한국베링거인겔하임
- 동영상00:09:333경력은 없고 나이는 많은데 어떤 회사에 취업할 수 있을까? [3월 노필터상담소 #.04]
- 동영상00:18:534진짜로 평판조회 하나요?
- 동영상00:43:555경력 면접 오답노트
- 동영상01:52:416[HR세미나] 면접관 교육
- 동영상00:00:007[HR세미나] 데이터로 알아보는 2022 채용트렌드
- 동영상00:09:168개발자 커리어 시작하기 [개발자 커리어 성장문답 EP.03]
- 동영상00:03:079이직의 기준, 연봉 vs 커리어 [3월 노필터상담소 #.11]
- 동영상00:03:30103040 이직트랜드, 직장에 다니며 이직하는 꿀팁 [2월 노필터상담소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