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스토리8

이미지
인터뷰
입찰부터 고객사 관리까지, BD 업무의 A to Z
[인터뷰] 시믹코리아 BD팀 Sr. BDA 이지예 님
대표적인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시믹그룹의 한국 법인인 시믹코리아는 국내외 고객사와 협력하며 고품질의 임상시험 서비스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핵심 부서 BD 팀이 존재하는데요.   바쁘지만 또 그만큼 매일이 다채롭고 보람 있게 느껴지는 BD 팀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적 제안,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라는 핵심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시믹코리아 BD 팀의 Senior Business Development Associate 이지예 님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Q. 안녕하세요,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믹코리아 BD 부서에서 Senior Business Development Associate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지예입니다. 첫 사회생활을 제약회사에서 시작하면서 자연스레 임상 업계를 알게 되었고, 그렇게 연이 닿은 시믹코리아(이하 시믹)에서 일한 지 어느새 5년째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Q. 시믹코리아의 BD 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저희 BD 팀은 제약회사나 바이오텍과 같은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여 결과적으로 임상시험을 수주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담당합니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잠재 고객 발굴에 집중하는 아웃바운드 업무와, 수령한 RFP(견적 요청)에 대응하여 임상시험을 수주하기 위한 제안을 하는 인바운드 업무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아웃바운드 업무로는 잠재 고객 발굴을 위해 부스 전시를 하며 컨퍼런스에 참여하거나, 시믹 주도의 세미나를 기획하여 저희를 알리고, 업계 모임에 참석하여 네트워킹을 하는 등 고객사와의 접점과 새로운 기회를 늘리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업무는 고객사에서 계획하고 있는 임상에 대한 RFP를 수령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고객사의 니즈와 서비스 요구사항에 맞춘 견적과 제안서를 제공하고, 필요시 Bid Defense Meeting(입찰 관련 고객사 미팅)을 통해 우리의 서비스와 제안을 피력하고 어필하는 미팅을 주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입찰 과정을 거쳐 과제가 수주되면 그 이후에는 계약을 체결하고, 과제를 운영할 유관 부서에 계약 상세 사항들을 전하는 핸드오버 미팅을 마지막으로 하나의 입찰에 대한 BD 업무의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덧붙여, 과제가 체결된 이후에도 진행 중인 과제의 추가 업무 견적을 산정하거나, 프로젝트 진행 상태를 점검하며 팔로우업하는 등 지속적인 고객사 관리까지 저희 BD 소관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Q. 팀 내에서 지예님의 업무는 무엇인가요?   수령한 RFP의 입찰 과정 전반에 필요한 견적 제안 및 미팅 등을 진행하고, 담당하는 과제의 고객사를 관리하는 업무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Q. BD 업무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될만한 역량, 자질 또는 경험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BD는 마치 시믹과 고객사를 연결하는 가교와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노력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서면으로는 보이지 않는 니즈를 파악하고, 적시에 필요한 제안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점을 통해 고객사의 문을 두드리는 노력도 해야 합니다. 과제마다 특성이 달라 그에 맞는 합리적인 견적을 기획하려면 내부의 여러 실무 관계자들의 의견을 확인하고 조율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BD 팀에서도 이따금 불가피하게 이슈나 불만 상황을 접하게 되는데요. 처음에는 저도 감정적으로 응하거나,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 괴로웠던 적도 있었지만 팀원 및 부서장과의 상담을 통해 해답을 얻었어요. 갈등 상황에서 먼저 상대의 의견과 감정을 흡수하고 공감하면서도, 신속하게 내부에 전달하여 해결책을 마련함으로써 양사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로 전환하고, 긍정적인 관계로 이끄는 것 또한 BD의 소통력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Q. 소통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네요.지예 님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람들과 팀 분위기도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이 협력해 주시고, 하나의 목표에 같이 몰두해 주시는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생소한 지식이나 선뜻 답이 나오지 않는 요청들도 많지만, 여러 전문가의 손을 빌리면 해결하기 어려운 일은 하나도 없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어요.    비단 ‘님’ 호칭을 통한 수평적 문화 때문만이 아니라 바로 옆에 앉아 계신 팀원 분들, 타 부서의 Manager, Director, Country head 등 모든 분들이 언제든 함께 머리 맞대어 고민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만들어주고 계셔서 가능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Q. 시믹코리아에서 일하며 가장 기억에 남았던 또는 보람찼던 순간은 언제인가요?   어떤 한 순간을 뽑을 수는 없을 것 같은데요. 제가 RFP 수령부터 제안까지 전체적인 입찰 과정을 진행하고 수주받은 모든 과제들을 기억하고 있는 만큼, 실무부서에 새로운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좋은 소식을 전할 때가 가장 기뻤던 것 같습니다.     Q. 마지막 질문인데요. 앞으로 시믹코리아에서 달성하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보람찼던 순간들을 떠올리니 내년에도 다양한 과제를 가져와 더 많은 기회와 경험을 동료분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의욕을 다지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폭넓은 전문성을 가진 BD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해요. 결국 제가 도움을 받아온 만큼 동료분들께 보람과 행복을 나누는 일원으로서 시믹과 함께 성장하고, 시믹을 움직이는 BD로서 오래도록 나아가고 싶습니다.   저작권은 시믹코리아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더 보기
이미지
인터뷰
시믹코리아 16년차, BD팀 부서장이 전하는 팀 이야기
[인터뷰] 시믹코리아 BD팀 Director 김민경 님
‘근무 16년 차 부서장’, 왠지 딱딱하고 권위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시믹코리아 BD팀의 김민경 부서장은 그와는 정반대입니다. 일본에서 유학 후 통역으로 커리어를 시작해, 이제는 팀을 이끄는 부서장으로 성장한 그녀는 따뜻한 리더십과 꼼꼼함, 그리고 끝없는 배움의 열정으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데요. 시믹코리아 BD팀의 역할부터 필요 역량, 팀원들과의 특별한 케미까지, 김민경 부서장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하게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믹코리아 입사 16년차로 근무하고 있는 BD팀 부서장 김민경이라고 합니다. 시믹이 일본계 CRO이다보니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 저는 통역 역할로 처음 시믹에 입사하였습니다.   그후 BD팀으로 이동하여 10년 이상 부서장으로서 부서를 이끌고 있습니다. 1인 부서였던 시믹코리아의 BD팀은 어느새 저를 포함하여 5명으로 인원이 늘었고, RFP(견적 요청) follow up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모션과 마케팅 활동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믹코리아의 BD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신약개발 과정은 크게 후보물질 개발-동물실험-임상시험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그중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의 경우 제약사나 바이오텍 등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는 매번 충분한 전문인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제약사, 바이오텍 등이 해당 업무를 대행해 줄 CRO를 선정하여 진행하는데요.    CRO의 BD팀은 이러한 과정에서 견적서 및 제안서를 제출하고 Bid Defense meeting(고객사 미팅) 등을 통해 우리 회사가 왜 해당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CRO인지를 피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회사를 알리기 위해 학회 또는 컨퍼런스에 참석하거나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하고, 견적과 계약서, 제안서를 꾸리는 데스크 업무 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BD팀의 인재상은 무엇인가요?   부서장으로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덕목은 진실함(Integrity)입니다. 어떠한 역량도 진실성을 근간에 두지 않으면 무의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회사 내에서 고객사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고객사와 CRO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상황이 때로는 불가피할 수 있으나 BD 담당자는 고객사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갈등을 중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D팀에서 업무 수행 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CRO에서 BD는 곧 영업이기 때문에 외향적인 성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신입사원 모집 공고를 내면 영업 경력을 가진 분들의 CV가 많이 들어오기도 합니다. 물론 BD로서 외향적인 성격으로 고객사와 친밀감을 쌓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죠. 하지만 임상시험이라는 어렵고 복잡한 전문분야를 제대로 이해하고 고객사가 고민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꼭 관련 전공자만이 CRO BD업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저를 포함해 저희 팀의 과반수 이상은 Science와 무관한 전공자인데요. 다만 꾸준히 공부하고 알아가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견적과 계약서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꼼꼼함도 요구됩니다. 소통도 잘하고, 업계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며, 꼼꼼함까지 갖추기는 쉽지 않지만, 현재 시믹코리아의 BD 부서원 모두는 이 세 가지 역량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자부합니다!   부서장으로서 팀원들을 이끌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부서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부서장에게 쉽게 논의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더라도 본인의 생각을 공유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도록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가족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회사에서 동료 및 상사와 불편한 관계에 있는 것만큼이나 힘든 상황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움이 있을 때 서로 독려하고 좋은 일에는 진심 어린 찬사를 아끼지 않고, 고마운 일에는 잊지 않고 마음을 표현하는 분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최소한 저희 부서 내에서는 마음 편하게 일할 수 있는, 더 나아가서는 함께 일할 수 있어 행복한 업무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시믹코리아에서 근무하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무엇보다 가족적이고 따뜻한 시믹코리아의 사내문화가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성으로서 결혼과 출산 이후에도 경력을 포기하지 않고 장기 근속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는 저와 같은 장기 근속자가 많아지는 이유이기도 하며, 최근 업계 평균보다 이직률이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한마디 부탁드려요.   업무 기한을 맞추기 위해 매일매일 고군분투하고, 바쁜 와중에도 동료의 백업을 주저하지 않는 우리 팀원들에게 올 한 해도 고생 많았고 앞으로도 오랫동안 함께 일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은 시믹코리아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더 보기
이미지
인터뷰
규제산업의 선도와 도전: RS부서의 핵심가치와 발전방향
[인터뷰] 시믹코리아 RS부서 Manager 김태우 님
   CRO 업계는 제약∙바이오 부문의 핵심 기능을 소화하는 만큼 인재가 많이 몰리기도 하고, 반대로 이직률도 높은 편인데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업계 평균 근속 기간은 3~4년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 최초 CRO 기업이자 외국계 CRO 대표 주자인 시믹코리아에는 인재들이 많을 뿐 아니라, 다른 회사들과 달리 근속년수가 긴 구성원이 많습니다.이번에 만나 볼 분도 오랜 근속기간을 자랑하는데요. 8년째 시믹코리아와 함께 하고 있는 RS부서의 부서장님을 만나봤습니다.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시믹코리아 RS 부서에서 Manager로 근무하고 있는 김태우입니다. 국내 및 글로벌 CRO에서 약 13년 동안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식약처와 IRB의 임상시험계획 승인 절차를 포함해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규제 컨설팅 업무를 담당해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규제 요건을 준수하면서도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시믹코리아와는 현재 약 8년째 함께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직접 경험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특히, 규제 관련 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갖춘 팀을 이끌어나가고 있다는 점을 자부심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RS 부서가 업계에서 더욱 신뢰받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S 부서는 RA팀과 PV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들었어요. Regulatory Solutions 부서, 약칭 RS 부서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와 같은 주요 규제 산업에서 국내외 다양한 고객사들에게 규제 관련 컨설팅과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저희 부서는 Regulatory Affairs (RA) 팀과 Pharmacovigilance (PV)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RA 팀만 운영해왔으나, 의약품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에게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V 팀을 신설하였습니다.  RA팀과 PV팀에서는 어떤 업무를 하나요? RA 팀은 평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약사법 및 의료기기법을 기반으로 식약처 대응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장 주된 업무는 임상시험계획 승인과 해외 고객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때 규제 요건을 검토하고 최적의 방안을 제시하는 규제 컨설팅입니다. 특히,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보유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승인 및 허가 전략을 수립하는 Data Gap Analysis & Strategy Development 서비스에서 시믹코리아의 전문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RA 팀에서는 신약 허가, 의료기기 등록, 사전 검토, 희귀의약품 등록 등 식약처 관련 민원 서비스를 대행하며, 고객사의 특수한 규제 관련 질문에 대한 상세한 리포트 컨설팅도 제공합니다. 최근 신설된 PV 팀은 의약품의 시판 전후 안전성 관리에 특화된 전문 벤더와 협력하여, 임상시험 고객사들에게 안전성 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팀은 이상 반응 모니터링 및 평가, 식약처 보고, 안전성 관련 문서 개발(SMP, DSUR) 및 위해성관리계획(RMP) 작성 등을 수행합니다. 앞으로 PV 팀은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RS 부서의 인재상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어요? RS 부서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전문성과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규제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규제 지식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인재상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규제 관련 업무는 종종 예기치 않은 문제나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며, 이를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규제를 통합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를 고객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할 수 있는 통찰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역시 중요한 역량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합니다.  시믹코리아는 외국계 CRO 기업이라 고객군도 무척 다양할 것 같습니다. 최근 구직자들 사이에서도 외국계 기업 채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외국계 기업의 RS 부서라서 더욱 중요한 역량이 있나요? RS 부서는 대부분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실력이 필수적입니다. 해외 고객과의 회의를 주도하고 프로젝트를 이끌며, 다양한 APAC 국가의 직원들을 통합하여 리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인 소통은 영어로 이루어집니다. 시믹코리아는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본사와의 소통 역시 영어로 진행됩니다. 또한, 규제 업무는 종종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고객, 다른 팀, 그리고 규제당국과의 효율적인 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적입니다. 규제 관련 지식이 복잡하고 전문적이기 때문에, 이를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전달하고, 고객사의 필요를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유리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적인 업무 수행의 핵심입니다.  RS부서의 매니저로서, 팀원들을 이끌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매니저는 팀원들이 있기에 존재할 수 있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이 곧 팀이라는 믿음으로, 팀원들이 경력 개발을 통해 전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궁극적으로 전체 성과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믿습니다. 이를 위해 팀원들이 경력 개발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업무 배분에 신경 쓰고,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며, 각 팀원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합니다. 또한, 팀원들과 회사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향을 자주 논의합니다.  8년째 시믹코리아와 함께 하고 계시는데요. 우리 회사에서 근무하면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시믹코리아는 한국 최초의 CRO로서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업계에서의 신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외국계 회사로서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강남과 역삼 사이의 현대적이고 멋진 건물에 위치해 뛰어난 근무 환경을 자랑하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로비 층의 화려한 장식이 직원들에게 긍정적인 분위기와 애사심을 고취시킵니다. 또한, 유연한 근무 시간과 높은 워라밸을 제공하여 직장 생활과 개인 생활 간의 균형을 잘 맞출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이러한 환경은 직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여기서 잠깐! 시믹코리아의 사내문화 만족도는 2024년 기준 3.5점으로, 업계 평균인 2.5점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개개인이 자신의 업무에 갖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수평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유연근무제 운영, 눈치 보지 않고 연차를 사용하는 등 워라밸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데, 이 역시 강력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사내문화 덕분에 가능한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팀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 여러분의 노력과 헌신이 우리 팀의 성공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습니다. 여러분 각자의 전문성과 열정 덕분에 우리는 도전적인 과제들도 함께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가고 있습니다. 항상 개방적이고 솔직한 소통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아이디어와 피드백은 우리 팀이 더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소통이 팀워크를 강화하고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경력 개발과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각자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개인적인 목표와 팀의 목표가 조화를 이루도록 지원하며, 모두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협력과 성취의 기쁨을 함께 나누며, 서로의 성장을 응원하고 지원하는 팀이 되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에 깊이 감사드리며, 함께 더 큰 성공을 이루어 나가길 기대합니다. 
더 보기
이미지
인터뷰
입찰부터 고객사 관리까지, BD 업무의 A to Z
[인터뷰] 시믹코리아 BD팀 Sr. BDA 이지예 님
대표적인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시믹그룹의 한국 법인인 시믹코리아는 국내외 고객사와 협력하며 고품질의 임상시험 서비스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핵심 부서 BD 팀이 존재하는데요.   바쁘지만 또 그만큼 매일이 다채롭고 보람 있게 느껴지는 BD 팀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적 제안, 고객과의 신뢰 구축이라는 핵심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시믹코리아 BD 팀의 Senior Business Development Associate 이지예 님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Q. 안녕하세요,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믹코리아 BD 부서에서 Senior Business Development Associate으로 근무하고 있는 이지예입니다. 첫 사회생활을 제약회사에서 시작하면서 자연스레 임상 업계를 알게 되었고, 그렇게 연이 닿은 시믹코리아(이하 시믹)에서 일한 지 어느새 5년째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Q. 시믹코리아의 BD 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저희 BD 팀은 제약회사나 바이오텍과 같은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여 결과적으로 임상시험을 수주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담당합니다.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잠재 고객 발굴에 집중하는 아웃바운드 업무와, 수령한 RFP(견적 요청)에 대응하여 임상시험을 수주하기 위한 제안을 하는 인바운드 업무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아웃바운드 업무로는 잠재 고객 발굴을 위해 부스 전시를 하며 컨퍼런스에 참여하거나, 시믹 주도의 세미나를 기획하여 저희를 알리고, 업계 모임에 참석하여 네트워킹을 하는 등 고객사와의 접점과 새로운 기회를 늘리고 있습니다.   인바운드 업무는 고객사에서 계획하고 있는 임상에 대한 RFP를 수령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고객사의 니즈와 서비스 요구사항에 맞춘 견적과 제안서를 제공하고, 필요시 Bid Defense Meeting(입찰 관련 고객사 미팅)을 통해 우리의 서비스와 제안을 피력하고 어필하는 미팅을 주도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입찰 과정을 거쳐 과제가 수주되면 그 이후에는 계약을 체결하고, 과제를 운영할 유관 부서에 계약 상세 사항들을 전하는 핸드오버 미팅을 마지막으로 하나의 입찰에 대한 BD 업무의 과정이 마무리됩니다.    덧붙여, 과제가 체결된 이후에도 진행 중인 과제의 추가 업무 견적을 산정하거나, 프로젝트 진행 상태를 점검하며 팔로우업하는 등 지속적인 고객사 관리까지 저희 BD 소관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Q. 팀 내에서 지예님의 업무는 무엇인가요?   수령한 RFP의 입찰 과정 전반에 필요한 견적 제안 및 미팅 등을 진행하고, 담당하는 과제의 고객사를 관리하는 업무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Q. BD 업무를 수행할 때 도움이 될만한 역량, 자질 또는 경험이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   BD는 마치 시믹과 고객사를 연결하는 가교와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무엇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노력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서면으로는 보이지 않는 니즈를 파악하고, 적시에 필요한 제안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점을 통해 고객사의 문을 두드리는 노력도 해야 합니다. 과제마다 특성이 달라 그에 맞는 합리적인 견적을 기획하려면 내부의 여러 실무 관계자들의 의견을 확인하고 조율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BD 팀에서도 이따금 불가피하게 이슈나 불만 상황을 접하게 되는데요. 처음에는 저도 감정적으로 응하거나,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 괴로웠던 적도 있었지만 팀원 및 부서장과의 상담을 통해 해답을 얻었어요. 갈등 상황에서 먼저 상대의 의견과 감정을 흡수하고 공감하면서도, 신속하게 내부에 전달하여 해결책을 마련함으로써 양사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로 전환하고, 긍정적인 관계로 이끄는 것 또한 BD의 소통력의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Q. 소통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네요.지예 님이 함께 일하고 있는 사람들과 팀 분위기도 궁금합니다.    많은 분들이 협력해 주시고, 하나의 목표에 같이 몰두해 주시는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생소한 지식이나 선뜻 답이 나오지 않는 요청들도 많지만, 여러 전문가의 손을 빌리면 해결하기 어려운 일은 하나도 없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어요.    비단 ‘님’ 호칭을 통한 수평적 문화 때문만이 아니라 바로 옆에 앉아 계신 팀원 분들, 타 부서의 Manager, Director, Country head 등 모든 분들이 언제든 함께 머리 맞대어 고민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열린 분위기를 만들어주고 계셔서 가능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Q. 시믹코리아에서 일하며 가장 기억에 남았던 또는 보람찼던 순간은 언제인가요?   어떤 한 순간을 뽑을 수는 없을 것 같은데요. 제가 RFP 수령부터 제안까지 전체적인 입찰 과정을 진행하고 수주받은 모든 과제들을 기억하고 있는 만큼, 실무부서에 새로운 과제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좋은 소식을 전할 때가 가장 기뻤던 것 같습니다.     Q. 마지막 질문인데요. 앞으로 시믹코리아에서 달성하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보람찼던 순간들을 떠올리니 내년에도 다양한 과제를 가져와 더 많은 기회와 경험을 동료분들과 함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의욕을 다지게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폭넓은 전문성을 가진 BD가 되어야겠다고 생각해요. 결국 제가 도움을 받아온 만큼 동료분들께 보람과 행복을 나누는 일원으로서 시믹과 함께 성장하고, 시믹을 움직이는 BD로서 오래도록 나아가고 싶습니다.   저작권은 시믹코리아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더 보기
이미지
인터뷰
시믹코리아 16년차, BD팀 부서장이 전하는 팀 이야기
[인터뷰] 시믹코리아 BD팀 Director 김민경 님
‘근무 16년 차 부서장’, 왠지 딱딱하고 권위적인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시믹코리아 BD팀의 김민경 부서장은 그와는 정반대입니다. 일본에서 유학 후 통역으로 커리어를 시작해, 이제는 팀을 이끄는 부서장으로 성장한 그녀는 따뜻한 리더십과 꼼꼼함, 그리고 끝없는 배움의 열정으로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데요. 시믹코리아 BD팀의 역할부터 필요 역량, 팀원들과의 특별한 케미까지, 김민경 부서장의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간단하게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시믹코리아 입사 16년차로 근무하고 있는 BD팀 부서장 김민경이라고 합니다. 시믹이 일본계 CRO이다보니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 저는 통역 역할로 처음 시믹에 입사하였습니다.   그후 BD팀으로 이동하여 10년 이상 부서장으로서 부서를 이끌고 있습니다. 1인 부서였던 시믹코리아의 BD팀은 어느새 저를 포함하여 5명으로 인원이 늘었고, RFP(견적 요청) follow up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모션과 마케팅 활동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시믹코리아의 BD팀은 어떤 일을 하나요?   신약개발 과정은 크게 후보물질 개발-동물실험-임상시험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요. 그중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의 경우 제약사나 바이오텍 등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는 매번 충분한 전문인력을 갖추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많은 제약사, 바이오텍 등이 해당 업무를 대행해 줄 CRO를 선정하여 진행하는데요.    CRO의 BD팀은 이러한 과정에서 견적서 및 제안서를 제출하고 Bid Defense meeting(고객사 미팅) 등을 통해 우리 회사가 왜 해당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CRO인지를 피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회사를 알리기 위해 학회 또는 컨퍼런스에 참석하거나 세미나를 개최하기도 하고, 견적과 계약서, 제안서를 꾸리는 데스크 업무 등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BD팀의 인재상은 무엇인가요?   부서장으로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덕목은 진실함(Integrity)입니다. 어떠한 역량도 진실성을 근간에 두지 않으면 무의미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회사 내에서 고객사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고객사와 CRO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 상황이 때로는 불가피할 수 있으나 BD 담당자는 고객사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갈등을 중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D팀에서 업무 수행 시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   CRO에서 BD는 곧 영업이기 때문에 외향적인 성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신입사원 모집 공고를 내면 영업 경력을 가진 분들의 CV가 많이 들어오기도 합니다. 물론 BD로서 외향적인 성격으로 고객사와 친밀감을 쌓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죠. 하지만 임상시험이라는 어렵고 복잡한 전문분야를 제대로 이해하고 고객사가 고민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꼭 관련 전공자만이 CRO BD업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저를 포함해 저희 팀의 과반수 이상은 Science와 무관한 전공자인데요. 다만 꾸준히 공부하고 알아가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또한 견적과 계약서 업무를 진행하기 위해 꼼꼼함도 요구됩니다. 소통도 잘하고, 업계 공부도 게을리하지 않아야 하며, 꼼꼼함까지 갖추기는 쉽지 않지만, 현재 시믹코리아의 BD 부서원 모두는 이 세 가지 역량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자부합니다!   부서장으로서 팀원들을 이끌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부서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부서장에게 쉽게 논의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더라도 본인의 생각을 공유하는 것에 주저함이 없도록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가족보다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회사에서 동료 및 상사와 불편한 관계에 있는 것만큼이나 힘든 상황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려움이 있을 때 서로 독려하고 좋은 일에는 진심 어린 찬사를 아끼지 않고, 고마운 일에는 잊지 않고 마음을 표현하는 분위기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요. 최소한 저희 부서 내에서는 마음 편하게 일할 수 있는, 더 나아가서는 함께 일할 수 있어 행복한 업무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시믹코리아에서 근무하면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무엇보다 가족적이고 따뜻한 시믹코리아의 사내문화가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여성으로서 결혼과 출산 이후에도 경력을 포기하지 않고 장기 근속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는 저와 같은 장기 근속자가 많아지는 이유이기도 하며, 최근 업계 평균보다 이직률이 현저히 낮아지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한마디 부탁드려요.   업무 기한을 맞추기 위해 매일매일 고군분투하고, 바쁜 와중에도 동료의 백업을 주저하지 않는 우리 팀원들에게 올 한 해도 고생 많았고 앞으로도 오랫동안 함께 일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은 시믹코리아에 있으며,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더 보기
이미지
인터뷰
규제산업의 선도와 도전: RS부서의 핵심가치와 발전방향
[인터뷰] 시믹코리아 RS부서 Manager 김태우 님
   CRO 업계는 제약∙바이오 부문의 핵심 기능을 소화하는 만큼 인재가 많이 몰리기도 하고, 반대로 이직률도 높은 편인데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업계 평균 근속 기간은 3~4년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국내 최초 CRO 기업이자 외국계 CRO 대표 주자인 시믹코리아에는 인재들이 많을 뿐 아니라, 다른 회사들과 달리 근속년수가 긴 구성원이 많습니다.이번에 만나 볼 분도 오랜 근속기간을 자랑하는데요. 8년째 시믹코리아와 함께 하고 있는 RS부서의 부서장님을 만나봤습니다.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시믹코리아 RS 부서에서 Manager로 근무하고 있는 김태우입니다. 국내 및 글로벌 CRO에서 약 13년 동안 다양한 경험을 쌓으며, 식약처와 IRB의 임상시험계획 승인 절차를 포함해 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규제 컨설팅 업무를 담당해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규제 요건을 준수하면서도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시믹코리아와는 현재 약 8년째 함께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직접 경험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특히, 규제 관련 서비스의 전문성을 높이고, 전문성을 갖춘 팀을 이끌어나가고 있다는 점을 자부심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RS 부서가 업계에서 더욱 신뢰받고,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S 부서는 RA팀과 PV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들었어요. Regulatory Solutions 부서, 약칭 RS 부서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와 같은 주요 규제 산업에서 국내외 다양한 고객사들에게 규제 관련 컨설팅과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저희 부서는 Regulatory Affairs (RA) 팀과 Pharmacovigilance (PV) 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RA 팀만 운영해왔으나, 의약품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에게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PV 팀을 신설하였습니다.  RA팀과 PV팀에서는 어떤 업무를 하나요? RA 팀은 평균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약사법 및 의료기기법을 기반으로 식약처 대응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장 주된 업무는 임상시험계획 승인과 해외 고객이 한국 시장에 진출할 때 규제 요건을 검토하고 최적의 방안을 제시하는 규제 컨설팅입니다. 특히,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보유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승인 및 허가 전략을 수립하는 Data Gap Analysis & Strategy Development 서비스에서 시믹코리아의 전문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RA 팀에서는 신약 허가, 의료기기 등록, 사전 검토, 희귀의약품 등록 등 식약처 관련 민원 서비스를 대행하며, 고객사의 특수한 규제 관련 질문에 대한 상세한 리포트 컨설팅도 제공합니다. 최근 신설된 PV 팀은 의약품의 시판 전후 안전성 관리에 특화된 전문 벤더와 협력하여, 임상시험 고객사들에게 안전성 관리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팀은 이상 반응 모니터링 및 평가, 식약처 보고, 안전성 관련 문서 개발(SMP, DSUR) 및 위해성관리계획(RMP) 작성 등을 수행합니다. 앞으로 PV 팀은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RS 부서의 인재상에 대해 말씀해 주시겠어요? RS 부서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전문성과 문제 해결 능력입니다. 규제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규제 지식과 지속적인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우리는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인재상으로 생각합니다. 또한, 문제 해결 능력도 매우 중요합니다. 규제 관련 업무는 종종 예기치 않은 문제나 복잡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며, 이를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규제를 통합적 관점으로 해석하고, 이를 고객에게 이해하기 쉽게 전달할 수 있는 통찰력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역시 중요한 역량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선호합니다.  시믹코리아는 외국계 CRO 기업이라 고객군도 무척 다양할 것 같습니다. 최근 구직자들 사이에서도 외국계 기업 채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외국계 기업의 RS 부서라서 더욱 중요한 역량이 있나요? RS 부서는 대부분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실력이 필수적입니다. 해외 고객과의 회의를 주도하고 프로젝트를 이끌며, 다양한 APAC 국가의 직원들을 통합하여 리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인 소통은 영어로 이루어집니다. 시믹코리아는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본사와의 소통 역시 영어로 진행됩니다. 또한, 규제 업무는 종종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 고객, 다른 팀, 그리고 규제당국과의 효율적인 소통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도 필수적입니다. 규제 관련 지식이 복잡하고 전문적이기 때문에, 이를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전달하고, 고객사의 필요를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유리한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성공적인 업무 수행의 핵심입니다.  RS부서의 매니저로서, 팀원들을 이끌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매니저는 팀원들이 있기에 존재할 수 있는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팀원들이 곧 팀이라는 믿음으로, 팀원들이 경력 개발을 통해 전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궁극적으로 전체 성과 향상으로 이어진다고 믿습니다. 이를 위해 팀원들이 경력 개발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업무 배분에 신경 쓰고,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며, 각 팀원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합니다. 또한, 팀원들과 회사가 모두 윈-윈할 수 있는 방향을 자주 논의합니다.  8년째 시믹코리아와 함께 하고 계시는데요. 우리 회사에서 근무하면 좋은 점은 무엇인가요? 시믹코리아는 한국 최초의 CRO로서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업계에서의 신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외국계 회사로서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강남과 역삼 사이의 현대적이고 멋진 건물에 위치해 뛰어난 근무 환경을 자랑하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로비 층의 화려한 장식이 직원들에게 긍정적인 분위기와 애사심을 고취시킵니다. 또한, 유연한 근무 시간과 높은 워라밸을 제공하여 직장 생활과 개인 생활 간의 균형을 잘 맞출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이러한 환경은 직원들이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고,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여기서 잠깐! 시믹코리아의 사내문화 만족도는 2024년 기준 3.5점으로, 업계 평균인 2.5점에 비해 매우 높습니다. 개개인이 자신의 업무에 갖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수평적인 문화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죠. 유연근무제 운영, 눈치 보지 않고 연차를 사용하는 등 워라밸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데, 이 역시 강력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사내문화 덕분에 가능한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팀원들에게 한 마디 해주세요. 여러분의 노력과 헌신이 우리 팀의 성공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것을 항상 느끼고 있습니다. 여러분 각자의 전문성과 열정 덕분에 우리는 도전적인 과제들도 함께 해결해 나가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성장을 이루어가고 있습니다. 항상 개방적이고 솔직한 소통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아이디어와 피드백은 우리 팀이 더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소통이 팀워크를 강화하고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경력 개발과 성장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각자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개인적인 목표와 팀의 목표가 조화를 이루도록 지원하며, 모두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앞으로도 협력과 성취의 기쁨을 함께 나누며, 서로의 성장을 응원하고 지원하는 팀이 되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에 깊이 감사드리며, 함께 더 큰 성공을 이루어 나가길 기대합니다. 
더 보기

기업소식23

기업정보

  • 의료 산업
  • 외국계 (외국 투자기업) 기업형태
  • 87명 사원수
  • - 설립
  • 대표
    MITAKE AKIHISA(미타케아키히사)
  • 매출
    -
  •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29 강남N타워 10층
  • 웹사이트
    https://en.cmicgroup.com/
  • 연혁
    -
  • 소개
    CMIC Group was established as the first CRO in Asia in 1985. We offer greatly expanded services that encompass an entire value-chain of pharmaceutical companies, including manufacturing, sales, and marketing, based on our unique “Pharmaceutical Value Creator(PVC)” business model. CMIC Korea is the first CRO launched in Korea as well in 1996 and has supported drug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companies with expertise and quality in Korea.

    시믹그룹은 1985년에 아시아 최초로 설립된 CRO(Clinical Research Organization)이며 일본에 본사를 두고, Pharmaceutical Value Creator라는 Business Model로 CRO서비스 뿐만 아니라 의약품 개발, 생산, 영업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세계적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시믹코리아는 1996년도에 한국에 최초로 설립된 CRO로서, 다양한 Therapeutic Area 에서 임상경험을 축적해 왔습니다. 우수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 체계적인 SOP와 Qualit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Clinical Operation, Project Management, Regulatory Affairs, Data Management, Statistical Analysis, Medical Writing 등 임상시험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Full Functional Service Provider로 활약하고 있으며, 국내임상시험, 다국가 임상시험, Early phase와 Late Phase 임상시험을 균형 있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등록된 복지정보가 없습니다.
이 기업의 직원이신가요?
복지를 등록/평가해 주세요.
복지 등록하기
자율 및 탄력 근무 제도
4.7
반차 및 시간제 연차 사용
5.0
상해/실손 보험 지원
5.0
임신/출산 선물
-
무료 간식 및 음료 제공
3.0

기업리뷰를 써야 하는 이유

  1. 1. 리뷰 하나로 열람권 획득 리뷰 하나만 써도 모든 기업 리뷰를 승인된 날로부터 1년간 볼 수 있습니다.
    잡플래닛은 당신이 가장 만족스러운 직장을 고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몇분만 투자하세요!
  2. 2. 매일 수백개의 기업에 대한 새로운 리뷰 지금 이순간에도 수백명의 회원들이 기업리뷰를 남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의 친구, 직장 동료, 경쟁자들은 벌써 이런 정보를 보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뒤쳐지지 마세요!
  3. 3. 운영팀도 모르는 익명성 리뷰를 검토하는 운영팀조차도 작성자가 누구인지 모릅니다. 모든 개인 정보는 암호화되며 어디에도 노출되지 않습니다. 심지어 작성자가 드러날 것만 같은 리뷰는 거절된답니다. 걱정마세요!

<리뷰 작성 Tips>

  1. 1. 기업이 가지는 ‘일자리로서의 매력’ 혹은 ‘아쉬운 점‘에 대하여 작성해주세요. 특정인을 지목하여 묘사하기 보다는 기업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를 이야기해주세요. • 입사 후 어떤 업무를 하나요? • 휴가 사용은 어떻게 하나요? • 어떤 복지가 제공 되나요?
  2. 2. 본인이 경험한 사실을 작성해주세요. 간접 정보, 허위사실 또는 소문(확인되지 않은 정보, 루머 또는 다른 출처에서 인용 또는 보고된 다른 사람의 의견/경험)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3. 3. ‘이유‘를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회사가 좋다, 안 좋다’ 뿐만 아니라 그 회사가 왜 좋은지를 포함한 정보입니다. 회사를 다니면서 느꼈던 점들과 그렇게 느꼈던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해 주세요.
  4. 4. ‘균형’을 맞춰주세요. 회사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 모두가 구직자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조금 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장점과 단점의 균형을 권장합니다.
  • "어디로 갈지 결정해야 할 마지막 순간에 잡플래닛의 기업리뷰가 큰 도움이 되었다. 덕분에 나에게 잘 맞는 회사를 선택할 수 있었다."
  • 당신의 리뷰로 더 나은 삶을 살게 될 미래의 직장인
  • "선배에게 물어봐도 말 안해주는 이야기들. 하지만 결정을 위해 알아야만 하는 것들. 잡플래닛이 유일한 솔루션이었다."
  • 당신이 1분을 투자하고 구해낸 미래의 직장인
  • "복지제도가 있다 없다 하는 것보다 중요한건, 정말 혜택을 볼 수 있는건가 하는 거 잖아요. 그런데 그런정보는 구하기가 어려웠으니까요."
  • 당신의 리뷰로 현실을 알게 된 미래의 후배
  • "일년만 더 빨리 오픈하지! 그랬으면 이곳에 취업해서 6개월이나 허비하지 않아도 되었을텐데.. 뭐 그래도 이제는 도움 좀 받겠어요."
  • 당신이 쓴 리뷰로 재취업의 방향을 결정하려는 미래의 취업준비생

수준이 다른 잡플래닛의 연봉정보

  1. 1. 직급/직종 별로 보는 정확한 연봉 후회하지 않으려면 직급에 따라, 그 속 에서도 직종에 따라 달라지는 연 봉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회사 평균 연봉 같은 숫자에 당하지 마세요.
  2. 2. 날마다 새로워지는, 가장 현실적인 연봉 잡플래닛에서는 하루 수백건의 연봉 정보가 추가됩니다. 눈 뜨면 달라지 는 상황 속에서 언제까지 구체적 이 지도 않은 작년 연봉정보를 기준으 로 인생을 결정할 순 없으니까요.
  3. 3. 친구도 안가르쳐 주는 정보 멀지 않은 미래에 연봉을 좀더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 적용 됩니 다. 누군가는 기본급에, 누군가는 상 여금에 더 큰 비중을 두니까요. 친구에게도 물어보기 어려운 정보를 기다리며, 잠깐만 투자하세요.

정보 등록 정책

  1. 연봉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작성된 모든 정보는 잡플래닛의 자체적인 검토 과정을 거쳐 등록됩니다.
  2. 등록이 거부되는 이유 1. 존재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기업명 2. 기존에 입력된 연봉 정보와 비교했을 때, 지나치게 큰 차이가 나는 금액 3. 직급/직종을 고려했을때 상식을 벗어난 신뢰하기 어려운 금액

이것만 기억하세요.

  1. 1. 인턴에서 이직까지. 잡플래닛의 원스톱 정보 제공 서비스 노력하면 찾을 수 있는 공채 족보뿐 만 아니라, 선배한테 매달려야 알려주는 인턴 합격수기부터 그 어디에 도 없는 경력직들의 이직 면접 팁까 지. 당신의 모든 '지원'이 합격으로 끝나는 방법이 잡플래닛에 있습니다.
  2. 2. 잠깐! 기업 리뷰도 보고 싶으신가요? 면접후기를 제출하면 합격을 부르는 수만개의 꿀팁이 열립니다. 기업 리뷰도 보고 싶으시다면 기업 리뷰를 제출해주세요. 열려라 참깨! 의 비밀은 '기브 앤 테이크' 입니다.

<면접 작성 Tips>

  1. 1. 실제 면접에 참여한 경험을 작성해주세요! 면접을 앞둔 구직자가 면접을 준비할 때 필요한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면접을 위한 준비는 무엇인가요? • (면접질문) • 면접은 어떤 방식인가요?
  2. 2. 본인이 경험한 사실을 작성해주세요. 간접 정보, 허위사실 또는 소문(확인되지 않은 정보, 루머 또는 다른 출처에서 인용 또는 보고된 다른 사람의 의견/경험)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3. 3. ‘이유‘를 함께 이야기해주세요. ‘면접 분위기가 좋다, 안 좋다’ 뿐만 아니라 그 회사가 왜 좋은지를 포함한 정보입니다. 면접을 보면서 느꼈던 점들과 그렇게 느꼈던 이유와 근거를 이야기해 주세요.
  4. 4. 면접 ‘과정’에 관련된 정보를 이야기해주세요. 특정인을 지목하여 묘사하기 보다는 안내과정, 질답과정, 발표과정 등에 대하여 작성해주세요.
  • "예상질문을 준비했지만, 실제 면접에서는 전혀 다른 질문으로 몇번의 고비를 마셨습니다. 하지만,잡플래닛에서 먼저 합격한 선배들의 노하우를 보고 면접을 봤더니 바로 합격통보!소원성취!"
  • 당신이 알려준 면접 노하우를 보고 취업 성공한 미래의 후배
  • "외국계 기업의 영어 면접을 포기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 면접 후기를 들어보니 영어에 까다롭지 않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자신있게 지원을 했고, 현재 이곳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 실제 면접과정을 알고 도전해, 이직을 성공한 직장

정보 등록 정책

  1. 면접후기의 신뢰성을 높이고 고의적 기업 평점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된 모든 정보는 잡플래닛의 자체적인 검토 과정을 거쳐 등록됩니다.
  2. 등록이 거부되는 이유 1. 존재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기업명 2. 기업 기밀에 해당하는 내용 3. 욕설, 비속어, 은어 및 공격적인 언어 4. 부서, 직급 등 개인을 특정 지을 수 있는 정보나 폄훼, 비방성 표현 5. 기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안되는 상관 없는 내용

기업리뷰가 제출되었으며, 리뷰심사가 통과 시
노출됩니다.
지금부터 모든 기업리뷰를 제한 없이 볼 수 있습니다.
단, 리뷰심사에서 승인 거절 시 다시 제한이 됩니다.

신고하기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