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
비즈니스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 총정리, 세후 급여 얼마?
최저임금부터 1억까지, 세전 연봉별 월급 실수령액표 완벽 정리
2025. 02. 11 (화) 21:26 | 최종 업데이트 2025. 02. 27 (목) 01:30
다들 연봉 협상 잘 마무리하셨나요? 이제 중요한 건 ‘실제로 내 손에 들어오는 돈’인데요. 계약서에 적힌 연봉과 월급날 통장에 찍히는 금액이 다르다는 사실, 이미 잘 알고 계시겠죠. 세금, 4대 보험, 공제 항목들을 거치면 생각보다 체감 수입이 줄어들곤 합니다. 소박하게만 느껴지는 월급을 보면 가끔 '내 연봉이 1000만원 오른다면 실수령액이 얼마가 될까?'하는 궁금증이 샘솟곤 하는데요.
그렇다면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은 정확히 얼마나 될까요? 오늘은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리려 합니다. 연봉 협상 후 지출·저축 계획을 세우거나, 목표 연봉을 설정할 때 꼭 필요한 정보죠. 급여에서 세금이 얼마나 매겨지는지도 쉽게 알려드릴 테니 눈 크게 뜨고 따라와 주세요!
실수령액계산기 일일이 두드리지 마세요!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표
그동안 ‘실수령액 계산기’를 이용해 월급을 예상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간편하긴 하지만, 매번 금액을 입력하려니 답답하게 느껴지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아래 표에서는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했는데요. 4대보험과 소득세, 비과세액(월 20만원 기준) 등을 적용한 실제 수령액을 최저임금인 2515만5240원부터 1억원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어요. 연봉 협상을 앞두고 있거나, 현재 월급이 제대로 들어오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꼭 참고해 보세요.
📢 일러두기
• 비과세액은 '식대' 등 세금을 떼지 않는 항목을 뜻해요. 2025년 기준, 급여에서 최대 월 20만원을 비과세 항목으로 둘 수 있습니다.
• 비과세액·4대보험 요율·부양가족 수 등이 다를 경우, 아래 표의 실수령액과 실제 급여가 차이 날 수 있습니다.
세전 연봉 | 연봉 실수령액 | 월급 실수령액 |
2515만5240원(최저임금) | 2279만1600원 | 189만9300원 |
2750만원 | 2484만3920원 | 207만327원 |
3000만원 | 2701만9800원 | 225만1650원 |
3250만원 | 2919만9640원 | 243만3303원 |
3500만원 | 3128만6242원 | 260만7187원 |
3750만원 | 3331만4160원 | 277만6180원 |
4000만원 | 3534만7240원 | 294만5603원 |
4250만원 | 3730만8080원 | 310만9007원 |
4500만원 | 3925만200원 | 327만850원 |
4750만원 | 4119만2440원 | 343만2703원 |
5000만원 | 4300만7720원 | 358만3977원 |
5250만원 | 4492만200원 | 374만3350원 |
5500만원 | 4679만7400원 | 389만9783원 |
5750만원 | 4866만8120원 | 405만5677원 |
6000만원 | 5052만5400원 | 421만450원 |
6250만원 | 5242만240원 | 436만8353원 |
6500만원 | 5431만4720원 | 452만6227원 |
6750만원 | 5617만2600원 | 468만1050원 |
7000만원 | 5806만6960원 | 483만8913원 |
7250만원 | 5969만9120원 | 497만4927원 |
7500만원 | 6137만5080원 | 511만4590원 |
7750만원 | 6308만9080원 | 525만7423원 |
8000만원 | 6480만7760원 | 540만647원 |
8250만원 | 6658만6560원 | 554만8880원 |
8500만원 | 6830만5240원 | 569만2103원 |
8750만원 | 7008만3920원 | 584만327원 |
9000만원 | 7180만2600원 | 598만3550원 |
9250만원 | 7358만1280원 | 613만1773원 |
9500만원 | 7535만9960원 | 627만9997원 |
9750만원 | 7707만8640원 | 642만3220원 |
1억원 | 7885만7320원 | 657만1443원 |
실수령액은 어떻게 정해질까?
급여 계산하는 법
연봉 1억원의 실수령액 '657만1443원'을 보고 생각보다 액수가 크지 않아 실망하신 분, 분명 많으실 텐데요. 연봉 1억원의 세전 월급과 세후 월급(실수령액)을 비교해 보면, 한 달에 무려 176만1890원이나 차이 나는 셈입니다. 그렇다면 '실수령액'과 세전 월급의 차이를 만드는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흔히 '세전/세후'라고 해서 '세금을 떼기 전/후 급여'라고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우리 급여에서 차감되는 건 소득세와 4대보험입니다. 각각의 세금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서 월급 실수령액이 결정되죠.
소득세는 급여의 6~45%까지 월급에서 차감되는데요. 소득세를 정할 때는 여러 가지 요소를 반영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를 매월 계산할 수 없으니, 우선 법이 정한 '근로소득 간이세액' 기준에 따라 일정 비율을 월급에서 미리 떼어 갑니다.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적으로 세금 납부액이 확정되면, 더 낸 세금은 돌려받을 수 있고 덜 낸 세금은 추가로 내야 하죠. 내가 월급에서 한 달에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얼마인지 궁금하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어요.
다음으로 살펴볼 건, 4대보험 항목인데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근로자가 의무 가입하는 보험으로는 이 외에도 산업재해보상보험이 있지만, 이는 사업주가 보험료를 전액 의무 부담하기 때문에 우리가 따로 챙길 필요는 없어요. 4대보험 항목별로 급여의 몇 퍼센트가 보험료로 책정되는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항목 | 요율 | 2025년 인상 여부 |
국민연금 | 4.5% | 연령대별 인상 가능성 有 |
건강보험 | 7.09% | 동결 |
장기요양보험 | 0.9182% | 동결 |
고용보험 | 0.9% | 기업 규모별 변동 가능성 有 |
💰 '연봉'에 관한 유용하고 재밌는 이야기, 더 읽어보고 싶다면?
직장인들이 밝힌 "2025년 평균 연봉인상률은...”
나의 '영끌 연봉'...어디까지 포함?
이직 연봉 협상 중…연봉 올리는 협상 비법
직장인들이 밝힌 "2025년 평균 연봉인상률은...”
나의 '영끌 연봉'...어디까지 포함?
이직 연봉 협상 중…연봉 올리는 협상 비법
박지민 기자 [email protected]


함께 보면 좋아요
가장 많이 본 이슈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