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 : 마케팅팀과 CRM 마케팅 관련해서 오후 3시에 미팅하기로 했어요. 퍼포먼스 성과까지 모두 공유해주신다고 하니, 우리도 요청받은 콘텐츠를 미리 준비합시다. 다음 주엔 마케팅팀에 그로스 마케터님도 입사하신대요. 협업할 일이 더 많아질 것 같네요!
그로스 해킹
생산부터 고객 유치 및 리텐션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하면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마케팅 기술
퍼포먼스 마케팅
성과 지표와 데이터를 중심으로 비용 대비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케팅 최적화 전략
CRM 마케팅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획득한 고객 특성에 맞게 마케팅 활동을 펼쳐 고객과 긍정적인 관계를 목표로 하는 전략
마케터와 대화하기 위해선 먼저 마케터의 역할부터 분명하게 알아야겠죠? 마케터 직군을 살펴보면 콘텐츠, 그로스, 퍼포먼스, CRM 등 다양한 이름에 혼란스럽기도 한데요. 업무의 범위와 성격을 알면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
먼저,
퍼포먼스 마케터는
다양한 광고 채널에서 의미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마케팅 방식을 최적화합니다. 기업은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채널에 광고를 집행하기 마련인데요. 이때 비용 대비 성과가 클수록 좋겠죠? 일례로, 같은 비용으로 특정 시간대 특정 광고의 효과가 뛰어났다면, 원인을 분석해 가설을 세웁니다. 같은 시간대에 다른 광고를 테스트하거나, 다른 시간에 똑같은 광고를 테스트하면서 가장 좋은 방법을 찾는 것이죠. 이처럼 주어진 예산 내에서 광고 및 마케팅 방식을 최적화하는 역할이에요. 이때 광고란 자사 홈페이지 내 배너, 포털 속 광고, SNS의 광고 등을 떠올리면 이해하기 쉬워요.
퍼포먼스 마케터와 헷갈리기 쉬운 직무가
그로스 마케터예요. 먼저
그로스 해킹부터 살펴볼게요. 성장을 의미하는 그로스(growth)와 정보를 획득한다는 의미의 해킹(hacking)을 합쳐진 단어로, 기업의 성장에 필요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해커처럼 분석하고 테스트를 반복하는 과정을 통칭합니다. 퍼포먼스 마케팅보다 더 넓은 범위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이때
그로스 마케터는
넓은 범위에서 기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가설’을 세우고, 목표를 향한 ‘고객 여정’을 예측해 개선하는 역할이에요. 기업의 성격에 따라 퍼포먼스, CRM 마케터와 업무에 교집합이 많고 사용자의 경험을 늘 생각하는 역할이에요.
한편,
CRM 마케터는
기업과 고객 사이에서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주는 역할이에요. 앱을 사용하다 보면 ‘앱 푸시’나 ‘카카오톡 메시지’, ‘이메일’ 등 기업에서 보낸 광고 메시지를 받아보셨죠? 이처럼 다양한 마케팅 채널로부터 사용자 유입을 증가시키고, 어떤 정보를 제공할지 고민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충성고객을 만들어내고 고객 이탈을 막을 수 있게 되죠.